뉴스룸

시황뉴스 2025-04-01 상품시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귀금속보석거래소 조회 14회 작성일 25-04-01 09:57

본문

e71dfbe049eed56af8e32ec20087f6e7_1729499680_15.jpg


상품시황


: 골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모든 국가에게 상호 관세 부과 방침에 신고가 연속 갱신


-금일 골드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현지시간 4월 2일(수)을 '미국 해방의 날'로 지칭하며 모든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코앞에 두고도 입장을 철회하지 않자, 위험자산에서의 탈출 행렬이 이어지며 또 한 번 신고가를 갱신하여 상승 마감.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골드 랠리 속에 금 옵션 가격이 더 비싸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싸지고 있다며, 이는 현재의 금 가격을 시장이 사실상 "뉴 노멀"로 받아들이고 있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평가. 이에 따르면 금 가격은 앞으로도 장기간 꾸준히 상승을 거듭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언급


-TD 증권 "시장 참여자들이 현재의 금 신고가 레벨에서 역사적으로 그러했듯 급락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하는 부분이 있지만 우리가 보기에 현재 금을 매도할 이유가 거의 없다. 오히려 매크로 펀드들이 FOMO를 일으키며 금 매수에 동참할 것으로 보이므로 금 가격의 조정은 매우 짧을 것"이라 낙관론 제시




달러/원 환율


: 공격적인 美 상호 관세 예고편


1일 달러-원 환율은 1,470원대에서 지지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본격적인 상호 관세 발표가 임박하면서 관세 공포가 시장 전반에 드리웠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고점을 조금씩 높여가는 상황이다.


미국 상호 관세 부과는 시장이 4월 초에 시장이 기대하고 있는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다.


미국은 현지시간으로 오는 2일에 국가별 상호 관세를 공개하고, 3일부터는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할 방침을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전일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에는 국가별(country-based) 관세가 포함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모든 국가가 대상이라는 상호 관세 예고편은 상당히 공격적이다.


대미 흑자폭이 증가한 한국은 상당 수준의 관세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국가별 상호 관세와 품목별 관세가 겹칠 경우 두 관세율이 합쳐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오는 3일부터 자동차 관세가 발효되는 상황에서 국가별 관세까지 더해지면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자동차 부문의 관세 압박은 더욱 커진다.


서울 환시에서 달러를 매도하기에 불편한 국면이 이어지는 셈이다.


달러-원 환율은 이미 밤사이 고점을 경신했다.


야간 연장 거래 시간대에 달러화는 1,477.00원까지 고점을 높였다.


이는 올해 연중 고점일 뿐만 아니라 지난해 12월 27일 장중 1,486.70원을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달러화가 밤사이에 고점을 경신한 점은 정규장 시간대에도 달러 매수 빌미가 될 수 있다.


최근 1,460원선, 1,470원선이 뚫릴 때도 야간 거래에서 고점을 찍은 후 다음날 정규장에서 고점에 다가서는 흐름이 나타난 바 있다.


야간 연장 거래에서 달러화 상단이 열린 만큼 장중 상승 시도가 이어질 공산이 크다.


다만, 1,480원선 진입을 앞두고 개입 경계심이 형성돼 있다. 이월 수출업체 네고물량이 유입될지 여부도 봐야 한다.


급락했던 증시가 회복세를 보이면 달러화도 장중 숨을 돌릴 여지가 있다.


전일 증시에서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코스피, 코스닥지수 모두 나란히 3%대 급락한 바 있다.


외국인 주식 순매도 역시 1조 5천754억 원어치에 달했다.


미국 상호 관세 발표가 남아있어 시장 심리는 불안하지만 이날 증시가 약간 회복세를 보일 경우 달러화 상승 폭이 제한될 수 있다.


글로벌 달러인덱스는 약간 하락했다.


상호 관세와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경우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경기를 둔화함으로써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그럼에도 서울 환시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오기 전에 당장 상호 관세를 먼저 소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미국 시간으로 2일 밤에 관세의 세부 사항을 볼 수 있을 것이며, 어떤 경우 관세율이 상당히 낮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의 관세율이 예상보다 낮게 나올 경우 달러화가 하락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확인이 필요하다.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 물은 하락했다.


해외 브로커들은 1일 달러-원 1개월 물이 지난밤 1,470.20원(MID)에 최종 호가됐다고 전했다.


최근 1개월 물 스와프포인트(-2.35원)를 고려하면 전장 서울 외환시장 현물환 종가(1,472.90원) 대비 0.35원 내린 셈이다.  

TOP